크리시우마 E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시우마 EC는 1947년에 코메르시아리우 EC로 창단되었으며, 1978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1991년 코파 두 브라질에서 우승하며 199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했으며, 2002년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B, 2006년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C에서 우승했다. 홈구장은 에스타지우 에리베르투 휠세이며, 캄페오나투 카타리넨세에서 12회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타카타리나주의 축구단 - 피게이렌시 FC
피게이렌시 FC는 1921년 창단된 브라질의 축구 클럽으로, 플로리아노폴리스를 연고지로 하며, 카타리넨시 선수권 대회 3연패와 코파 메르코수르 우승을 기록하고, 현재는 세리에 C에서 활동한다. - 산타카타리나주의 축구단 - 조인빌리 EC
조인빌리 EC는 1976년 창단되어 1980년대 주 챔피언십 8년 연속 우승으로 전성기를 누렸으나 현재는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D에 참가하는 브라질 축구 클럽이다.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C 구단 - EC 주벤투지
EC 주벤투지는 1913년 브라질 카시아스두술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1994년 세리에 A 승격과 1999년 코파 두 브라질 우승을 통해 전국적인 인지도를 얻었으며, 알프레도 자코니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C 구단 - 보타포구 FC (상파울루주)
보타포구 FC (상파울루주)는 1918년에 창단된 브라질 상파울루주의 축구 클럽으로,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D에서 2015년에 우승했으며,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A2에서 1956년과 2000년에 우승했다. - 1947년 설립된 축구단 - 가시마 앤틀러스
가시마 앤틀러스는 1947년 창단된 J리그 원년 멤버이자 J리그 최다 우승팀으로,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등 아시아 클럽 대항전에서도 활약하며, 엠블럼은 사슴 뿔을 형상화했고 이바라키현립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1947년 설립된 축구단 - FK 잘기리스
FK 잘기리스는 리투아니아 빌뉴스에 연고를 둔 프로 축구 클럽으로, 리투아니아 독립 후 A 리가에서 11회 우승, 리투아니아 컵 14회 우승 등을 차지하며 리투아니아 축구를 대표하는 클럽이자 리투아니아 클럽 최초로 UEFA 클럽 대항전 조별 리그에 참가하는 역사를 썼다.
크리시우마 E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클럽 이름 | 크리시우마 이스포르치 클루비 |
별칭 | Tigre (호랑이), Tricolor Predestinado (운명적인 삼색기) |
![]() | |
창단일 | 1947년 5월 13일 |
홈 구장 | 에스타디오 에리베르투 후우시 (마제스토소) |
수용 인원 | 19,300명 |
웹사이트 | 크리시우마 EC 공식 웹사이트 |
구성 | |
회장 | 안셀모 프레이타스 |
감독 | 클라우디오 텐카치 |
유니폼 | |
![]() | |
![]() | |
![]() | |
현재 시즌 | |
리그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 캄페오나투 카타리넨시 |
디비전 | 세리이 B / 세리이 A |
시즌 | 2024 |
2. 역사
크리시우마 EC는 1947년 5월 13일 '''코메르시아리우 EC(Comerciário Esporte Clube)'''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 1960년대 재정 위기로 해산되었다가, 1976년 초대 코메르시아리우 EC 멤버들에 의해 재창단되었다. 1978년, 현재의 이름인 크리시우마 EC로 변경되었다.
1984년에는 현재의 검정, 노랑, 흰색 유니폼 색상이 채택되었으며, 이 때문에 '티그레(Tigre, 호랑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1992년 세리이 A로 승격된 후 5년 동안 1부 리그에 머물렀으나 강등되었다. 2005년에는 브라질 세리이 C로 강등되기도 했다. 그러나 2006년 세리이 C에서 우승하며 세리이 B로 복귀했고, 2012년에는 다시 좋은 성적을 거두어 세리이 A로 승격했다.
2. 1. 주요 대회 성적
크리시우마 EC는 전국 대회와 주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며 브라질 축구 역사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다.전국 대회 | ||
---|---|---|
대회 | 우승 | 시즌 |
코파 두 브라질 | 1 | 1991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B | 1 | 2002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C | 1 | 2006 |
주 대회 | ||
대회 | 우승 | 시즌 |
캄페오나투 카타리넨세 | 12 | 1968(1), 1986, 1989, 1990, 1991, 1993, 1995, 1998, 2005, 2013, 2023, 2024 |
코파 산타 카타리나 | 1 | 1993 |
레코파 카타리넨세 | 1 | 2024 |
캄페오나투 카타리넨세 세리 B | 1 | 2022 |
특히, 1991년 코파 두 브라질 우승은 구단의 가장 큰 업적으로, 당시 펠리페 스콜라리 감독의 지휘 아래 2부 리그 소속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뤄낸 쾌거였다. 이 우승으로 크리시우마는 다음 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는 자격을 얻었다.
1991년 코파 두 브라질 우승 당시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라운드 | 경기 | 1차전 | 2차전 |
---|---|---|---|
1라운드 | 우비라탄 – 크리시우마 | 1–1 | 1–4 |
2라운드 | 크리시우마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1–0 | 1–0 |
8강 | 고이아스 – 크리시우마 | 0–0 | 0–3 |
준결승 | 헤모 – 크리시우마 | 0–1 | 0–2 |
결승 | 그레미우 – 크리시우마 | 1–1 | 0–0 |
이후 2002년 세리이 B 우승, 2006년 세리이 C 우승을 통해 전국 리그에서의 경쟁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주 리그인 캄페오나투 카타리넨세에서도 12회 우승을 차지하며 산타 카타리나 주를 대표하는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3. 선수 명단
기준 선수 명단.번호 포지션 이름 국적 1 GK Gustavo 브라질 2 FW Allano 브라질 3 DF Rodrigo 브라질 4 DF Wilker Ángel 베네수엘라 5 MF Higor Meritão 브라질 6 MF Ronald 브라질 7 MF Fellipe Mateus 브라질 8 MF Newton 브라질 9 FW Felipe Vizeu 브라질 10 MF Marquinhos Gabriel 브라질 11 FW Yannick Bolasie 콩고 민주 공화국 12 GK Kauã 브라질 13 DF Jonathan 브라질 14 DF Miguel Trauco 페루 15 MF Eliedson 브라질 17 MF Matheusinho 브라질 18 MF Fabrício Lentz 브라질 20 DF Dudu 브라질 22 DF Marcelo Hermes 브라질 25 GK Alisson 브라질 27 DF Claudinho 브라질 28 FW Pedro Rocha 브라질 30 DF Hiago 브라질 31 MF Eliel 브라질 32 GK Matheus Teixeira 브라질 33 DF Walisson Maia 브라질 35 FW Serginho 브라질 41 DF Erick Garcia 브라질 43 DF Jackson Henrique 브라질 45 FW Arthur Caíke 브라질 50 MF Jhonata Robert 브라질 63 DF Thiago Mina 브라질 66 DF Guilherme Silva 브라질 73 FW Adrianinho 브라질 77 FW Werik Popó 브라질 85 MF Patrick de Paula 브라질 88 MF Barreto 브라질 99 FW Eduardo Melo 브라질 DF Kaik 브라질 FW Deividy 브라질 80 DF Ruan Carvalho 브라질 MF 레오 곤칼베스 브라질 FW 주앙 카를루스 브라질 FW 페트 브라질
3. 1. 주요 선수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29 | DF | 토비아스 피게이레두 | 포르투갈 |
3. 2. 역대 주요 선수
포지션 | 선수 이름 | 주요 활동 기간 |
---|---|---|
DF | 제시 | 2004 |
DF | 엘리제우 | 2007 |
DF | 에바우두 | 2010 |
DF | 미네이루 | 2011 |
MF | 주카 | 2002-2003 |
MF | 마르시오 리샤르데스 | 2004 |
MF | 후지네이 | 2007 |
MF | 호드리구 포세본 | 2012 |
FW | 카스카벨 | 1980-1981 |
FW | 마그노 아우베스 | 1997-1998 |
FW | 히카르두 로보 | 2005-2007, 2009 |
FW | 자르데우 | 2008 |
FW | 린스 | 2010-2011, 2013 |
FW | 제 카를루스 | 2011-2012 |
4. 감독
크리시우마 EC의 감독직을 역임했던 인물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감독 | 임기 |
---|---|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 | 1991 |
도리바우 주니오르 | 2005 |
호샤 | 2006 |
바당 | 2013 |
아르젤 푸흐스 | 2010, 2013 |
레비르 쿨피 | 1989-1990 |
로리 산드리 | 1981, 1987, 1991, 1994, 2003, 2004 |
에두 | 1987 |
페페 | 1997 |
파울루 에밀리오 | 1998 |
바동 | 2013 |
카이우 주니오르 | 2014 |
로비스 와그네르 | 2014 |
토니뇨 세실리오 | 2014 |
데얀 페트코비치 | 2015 |
이 외에도, 클라우지우 텐카티, 쿠카, 에드송 가우초, 제우송 시우바, 질손 클레이나, 이타마르 쉬울레, 라우루 부리고, 루이스 곤자가 밀리올리, 호베르투 카발루, 제 카를루스, 세르지우 라미레스 등의 감독들이 크리시우마 EC를 거쳐갔다.
4. 1. 역대 주요 감독
감독 | 임기 |
---|---|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pt | 1991 |
도리바우 주니오르|도리바우 주니오르pt | 2005 |
파울리뉴 크리시우마|호샤pt | 2006 |
바당 (축구인)|바당pt | 2013 |
아르젤 푸흐스|아르젤 푸흐스pt | 2010, 2013 |
클라우지우 텐카티|클라우지우 텐카티pt | |
쿠카 (축구 선수)|쿠카pt | |
에드송 가우초|에드송 가우초pt | |
제우송 시우바|제우송 시우바pt | |
질손 클레이나|질손 클레이나pt | |
이타마르 쉬울레|이타마르 쉬울레pt | |
라우루 부리고|라우루 부리고pt | |
레비르 쿨피|레비르 쿨피pt | 1989-1990 |
로리 산드리|로리 산드리pt | 1981, 1987, 1991, 1994, 2003, 2004 |
루이스 곤자가 밀리올리|루이스 곤자가 밀리올리pt | |
호베르투 카발루|호베르투 카발루pt | |
제 카를루스 (1945년생 축구 선수)|제 카를루스pt | |
세르지우 라미레스 다빌라|세르지우 라미레스ur | |
에두아르두 안투네스 코임브라|에두pt | 1987 |
조제 마시아|페페pt | 1997 |
파울루 에밀리오 프로사르두 조르지|파울루 에밀리오pt | 1998 |
오즈발두 푸메이루 아우바레스|바동pt | 2013 |
카이우 주니오르|카이우 주니오르pt | 2014 |
/|ja|로비스 와그네르|로비스 와그네르pt | 2014 |
안토니오 조르지 세실리오 소브리호|토니뇨 세실리오pt | 2014 |
데얀 페트코비치|데얀 페트코비치sr | 2015 |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 감독은 1991년 코파 두 브라질 우승을 이끌었다.
5. 경기장
크리시우마의 홈 경기장은 1955년에 건설된 에스타지우 에리베르투 휠세이며, 19,9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6. 우승 기록
대회 | 우승 | 시즌 |
---|---|---|
코파 두 브라질 | 1 | 1991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B | 1 | 2002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C | 1 | 2006 |
캄페오나투 카타리넨세 | 12 | 1968, 1986, 1989, 1990, 1991, 1993, 1995, 1998, 2005, 2013, 2023, 2024 |
코파 산타 카타리나 | 1 | 1993 |
레코파 카타리넨세 | 1 | 2024 |
6. 1. 전국 대회
전국 대회 | ||
---|---|---|
대회 | 우승 | 시즌 |
코파 두 브라질 | 1 | 1991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B | 1 | 2002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C | 1 | 2006 |
크리시우마는 1991년 코파 두 브라질에서 우승하며 199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여 5위를 기록했다.
1991년 코파 두 브라질 우승 당시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라운드 | 경기 | 1차전 | 2차전 |
---|---|---|---|
1라운드 | 우비라탄 – 크리시우마 | 1–1 | 1–4 |
2라운드 | 크리시우마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1–0 | 1–0 |
8강 | 고이아스 – 크리시우마 | 0–0 | 0–3 |
준결승 | 헤모 – 크리시우마 | 0–1 | 0–2 |
결승 | 그레미우 – 크리시우마 | 1–1 | 0–0 |
6. 2. 주 대회
대회 | 우승 | 시즌 |
---|---|---|
캄페오나투 카타리넨세 | 12 | 1968, 1986, 1989, 1990, 1991, 1993, 1995, 1998, 2005, 2013, 2023, 2024 |
코파 산타 카타리나 | 1 | 1993 |
레코파 카타리넨세 | 1 | 2024 |
7. 과거의 성적
다음은 1979년부터 현재까지 크리시우마 EC의 브라질 전국 리그 성적이다.
시즌 | 리그 | 순위 | 승점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78 | 불명 | 불명 | — | — | — | — | — | — | |
1979 | 세리이 A | 67위 | 9 | 9 | 4 | 1 | 4 | 9 | 8 |
1980 | 세리이 B | 54위 | 4 | 7 | 1 | 2 | 4 | 6 | 10 |
1981 | 세리이 B | 30위 | 6 | 7 | 2 | 2 | 3 | 8 | 10 |
1982 | 세리이 B | 38위 | 4 | 5 | 1 | 2 | 2 | 9 | 5 |
1983 | 세리이 B | 47위 | 1 | 5 | 0 | 1 | 4 | 2 | 9 |
1984 | 불명 | 불명 | — | — | — | — | — | — | |
1985 | 불명 | 불명 | — | — | — | — | — | — | |
1986 | 세리이 B | 9위 | 14 | 8 | 6 | 2 | 0 | 12 | 4 |
세리에 A | 15위 | 21 | 18 | 8 | 5 | 5 | 16 | 15 | |
1987 | 옐로우 모듈 | 6위 | 17 | 14 | 7 | 3 | 4 | 17 | 12 |
1988 | 세리에 A | 23위 | 14 | 23 | 1 | 8 | 14 | 12 | 34 |
1989 | 세리에 B | 5위 | 21 | 21 | 16 | 8 | 5 | 26 | 13 |
1990 | 세리에 B | 7위 | 25 | 22 | 9 | 7 | 6 | 23 | 15 |
1991 | 세리에 B | 35위 | 13 | 14 | 5 | 3 | 6 | 22 | 16 |
1992 | 세리에 B | 3위 | 33 | 28 | 13 | 7 | 8 | 32 | 20 |
1993 | 세리에 A | 23위 | 15 | 14 | 6 | 3 | 5 | 18 | 20 |
1994 | 세리에 A | 20위 | 23 | 24 | 7 | 9 | 8 | 34 | 34 |
1995 | 세리에 A | 16위 | 27 | 23 | 6 | 9 | 8 | 20 | 20 |
1996 | 세리에 A | 21위 | 23 | 23 | 6 | 5 | 12 | 31 | 39 |
1997 | 세리에 A | 24위 | 24 | 25 | 6 | 7 | 12 | 27 | 35 |
1998 | 세리에 B | 6위 | 30 | 19 | 9 | 3 | 7 | 30 | 20 |
1999 | 세리에 B | 18위 | 24 | 21 | 6 | 6 | 9 | 27 | 36 |
2000 | 옐로우 모듈 | 14위 | 27 | 17 | 7 | 6 | 4 | 27 | 21 |
2001 | 세리에 B | 22위 | 34 | 28 | 9 | 7 | 12 | 38 | 41 |
2002 | 세리에 B | 1위 | 63 | 25 | 16 | 3 | 6 | 45 | 34 |
2003 | 세리에 A | 14위 | 60 | 46 | 17 | 9 | 20 | 57 | 69 |
2004 | 세리에 A | 21위 | 50 | 46 | 13 | 11 | 22 | 61 | 78 |
2005 | 세리에 B | 21위 | 19 | 21 | 6 | 1 | 14 | 24 | 45 |
2006 | 세리에 C | 1위 | 64 | 32 | 18 | 10 | 4 | 63 | 30 |
2007 | 세리에 B | 7위 | 53 | 38 | 15 | 8 | 15 | 51 | 44 |
2008 | 세리에 B | 18위 | 41 | 38 | 11 | 8 | 19 | 40 | 54 |
2009 | 세리에 C | 15위 | 7 | 8 | 2 | 1 | 5 | 6 | 12 |
2010 | 세리에 C | 3위 | 17 | 12 | 4 | 5 | 3 | 13 | 9 |
2011 | 세리에 B | 14위 | 51 | 38 | 13 | 12 | 13 | 43 | 43 |
2012 | 세리에 B | 2위 | 73 | 38 | 22 | 7 | 9 | 78 | 57 |
2013 | 세리에 A | 14위 | 46 | 38 | 13 | 7 | 18 | 49 | 63 |
2014 | 세리에 A | 20위 | 32 | 38 | 7 | 11 | 20 | 28 | 56 |
2015 | 세리에 B | 12위 | 49 | 38 | 12 | 13 | 13 | 36 | 41 |
2016 | 세리에 B | 8위 | 56 | 38 | 16 | 8 | 14 | 49 | 46 |
2017 | 세리에 B | 13위 | 48 | 38 | 12 | 12 | 14 | 41 | 46 |
2018 | 세리에 B | 14위 | 47 | 38 | 11 | 14 | 13 | 45 | 49 |
2019 | 세리에 B | 19위 | 39 | 38 | 8 | 15 | 15 | 30 | 45 |
2020 | 세리에 C | 12위 | 19 | 18 | 4 | 7 | 7 | 20 | 24 |
2021 | 세리에 C | 4위 | 35 | 24 | 8 | 11 | 5 | 27 | 22 |
2022 | 세리에 B | 8위 | 52 | 38 | 14 | 10 | 14 | 39 | 37 |
2023 | 세리에 B | 3위 | 60 | 38 | 19 | 3 | 16 | 44 | 38 |
세리이 A 우승 | 세리이 A 준우승 | 상위 리그 승격 | 하위 리그 강등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